
안녕하세요 비바비바두 입니다. 코로나 19가 전세계적으로 확산이 되면서 비대면 사업이 활성화 되면서 온라인 쇼핑몰 거래가 늘었습니다. 유튜브에서 유명 강사들의 스마트스토어 판매 유도와 코로나19로 인해 재택근무자 급증 및 단축근무자 발생 등 여러 변수로 인해 직업의 불안정함을 느낀 많은 분들이 세컨잡으로 온라인 쇼핑몰 창업을 많이 하기도 했습니다. 온라인 쇼핑몰 중 해외구매대행 쇼핑몰도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해외구매대행의 경우 일반 온라인 쇼핑몰과는 다르게 세금신고를 하게 됩니다. 해외구매대행업 이란? 해외구매대행업은 말 그대로 국내 소비자를 대신해 해외 물품을 구입하고 배송을 대행해주는 온라인 쇼핑몰 사업 입니다. 해외구매대행업은 일반적인 도소매업 형식처럼 상품을 매입하여 판매하는 것이 아닌,..
블로그 ,카페,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틱톡 등 다양한 SNS에서 일회성이 아닌 계속적, 반복적으로 판매 및 중개행위를 하는 경우 사업자 등록을 하여야 합니다. - 사업자 등록은 사업을 시작한 날로부터 20일 이내에 국세청 홈택스를 이용하거나 세무서 민원봉사실에 방문하여 신청하면 됩니다. 블로그 ,카페 등 SNS를 이용하여 물품 판매는 물론 알선, 중개 등을 통해 수익을 얻는 활동의 경우 업종코드는 '525104'로 등록 합니다. SNS 마켓을 이용한 통신판매업을 기존의 전자상거래 소매업 및 소매중개업과 구분하기 위해 업종코드 신설하였습니다. 코드 세분류 세세분류 적용범위 525104 통신 판매업 SNS 마켓 블로그, 카페 등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소셜네트워크서비스, SNS) 채널을 이용하여 물품판매, ..

온라인으로 쇼핑몰을 운영하거나 물건 판매를 하는 셀러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손쉽게 몇 번의 클릭 만으로도 판매자로 등록이 되어 물건을 업로드 하고 판매를 시작 할 수는 있지만 세금에 관해서는 아무도 설명을 해 주지를 않네요. 판매가 이루어지고 수익이 발생하면서 그제서야 뒤늦게 부랴부랴 세금 관련해서 검색을 하고 알아보기 시작합니다. 스마트스토어, 쿠팡, G마켓 등 다양한 포털 오픈마켓에서 전자상거래를 하며 활발하게 거래를 하면서 생기는 궁금증. 나는 과연 간이과세자 일까요? 아니면 일반과세자 일까요? 오픈마켓을 막 시작했다면 꼭 짚고 넘어가야 하는 세금관련 기본 정보를 안내 드리겠습니다. 전자상거래란? 전자상거래는 인터넷 상에서 홈페이지로 개설된 상점을 통해 실시간으로 상품을 판매하고 대금을 받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