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판매업 업종코드, 이걸로 하세요

반응형

사업자 등록을 하고 나서 온라인 셀러로서 판매를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게 통신판매업신고 입니다.

통신판매업을 신고 할때 필요 한 것이  업종코드 인데요. 

업종코드에 따라 발생하는 세율이 다르기 때문에 꼭 참고 하셔서 신고 해야 합니다. 

 

사업자등록 코드란?
국세청이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맞춰 만든 6 자릿수의 코드 번호. 
조세행정 목적으로 만들어진 만큼 세금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습니다.
업종코드에 따라 단순/기준경비율, 세금공제, 부가세 면제, 장부기장 의무, 세금계산서 교부의무 등 적용되는 것들이 다릅니다. 

 

사업자 등록 업종선택이 의미하는 것

사업자등록 신청 시 대표자가 반드시 고민하고 입력해야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인적사항 다음에 입력하는 '업종선택' 입니다. 

통신판매업 업종코드 선택

앞으로 하게 될 사업에 맞는 '업종코드'를 검색해서 등록해야 합니다. 처음 사업을 하는 분들은 '업종'이 단순히 어떤 사업을 할지 체크하는 것이라 오해 할 수 있습니다. 사업자 등록할 때 입력하는 '업종코드'는 곧 내야 할 '세금' 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니 신중히 선택해야 합니 다. 국세청에서는 업종코드를 보고 대표자의 사업을 파악하고 이에 따랏 세금과 관련된 요소들을 정하게 됩니다. 업종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이나 국가 혜택 및 세제 혜택이 모두 다릅니다. 

 

사업자등록 할 때 업종, 업태, 종목 선택하기  

사업자등록 업종선택 부분에서는 '업종코드'이외에 알아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주업종과 부업종, 그리고 업태명, 종목명을 모두 적어야 합니다. 이때 '업종', '업태' 그리고 '종목'의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 

사업자등록 업종 업태 종목 선택하기

 

업종

'업태'와 '종목'을 합친 개념. 업종은 한국표준산업분류표에 따라 결정 됩니다. 업종코드도 여기서 정한 업종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업태 

판매하는 방법. 업태는 통계 작성 목적으로 분류되며 한국표준산업분류표의 대분류에 해당합니다. 

예) 도소매업, 서비스업, 건설업, 제조업, 음식업, 서비스업 등

 

종목

무엇을 판매하는지에 따른 분류. 업태 중에서도 세분화된 사업의 종류를 의미 합니다.

예) 소매업 >의류나 문구용품, 음식 숙박업 > 잡화나 전자상거래

 

모자 판매를 예로 들자면, 모자를 공장에서 직접 생산, 제조하여 팔면 업태는 제조업이 되고, 만들어진 모자를 공급받아 판매 하면 업태는 도매 및 소매업이 됩니다. 이 모자를 소비자에게 온라인으로 판매 한다면 종목은 전자상거래업이 됩니다. 

 

온라인 쇼핑몰, 업종코드 뭘로 할까? 

온라인 쇼핑몰을 준비 하고 있다면 업종코드를 어떻게 적어야 하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통신판매업만 하더라도 종류가 5개가 있으니 반드시 나에게 맞는 업종 확인을 해야 합니다. 

 

통신판매업 업종코드

 

업종코드의 적용범위 및 기준 확인하기

업종코드를 선택할 때 가장 먼저 살펴보아야 할 부분은 '적용범위 및 기준' 입니다. 사업자등록을 하기 전에 어떤 품목을 어떻게 판매 할 계획인지 우선 정리를 해 보아야 합니다. 

 

현재는 소매로 공장에서 물건을 납품받아 판매를 하고 있지만 추후 직접 제작을 할 예정이라고 할 경우, 지금은 통신판매업에서 전자상거래 소매업을 택하는 게 맞지만, 곧 제조업이 될 수도 있습니다. 사업을 하다보면 판매 방식이나 품목 변경이 되는 건 흔한 일 입니다. 이럴 때 현재 시점을 고려해 업종코드를 입력하는게 좋습니다. 사업 방식이 변경되면 홈택스에서 손쉽게 업종코드를 정정 할 수 있습니다. 

 

일단 소매로 판매를 하기로 했다면 전자상거래 소매업인 525101을 선택 해야 합니다. 

통신판매업 업종코드 전자상거래 소매업

해외에서 제품을 대신 구매해 주는 해외직구대행업으로 시작했다면 업종코드 525105를 선택 할 수 있습니다. 이 업종코드는 신설된 코드이며 기존 코드인 749609와 헷갈릴 수 있지만 2021년 이후 525105를 선택하면 됩니다. 

 

업종코드의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 비교하기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 차이를 알아야 합니다.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은 종합소득세 신고 할 때 영향을 줍니다. 

 

모든 사업자는 장부를 작성해야 할 의무가 있고, 영세사업자의 경우 장부 제출을 하지 않더라도 단순/기준경비율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즉 정해진 경비율에 따라 대표자가 내야 할 세금 액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어떤 업종코드로 사업자등록을 해야 할 지 결정 하는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