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카페,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틱톡 등 다양한 SNS에서 일회성이 아닌 계속적, 반복적으로 판매 및 중개행위를 하는 경우 사업자 등록을 하여야 합니다. - 사업자 등록은 사업을 시작한 날로부터 20일 이내에 국세청 홈택스를 이용하거나 세무서 민원봉사실에 방문하여 신청하면 됩니다. 블로그 ,카페 등 SNS를 이용하여 물품 판매는 물론 알선, 중개 등을 통해 수익을 얻는 활동의 경우 업종코드는 '525104'로 등록 합니다. SNS 마켓을 이용한 통신판매업을 기존의 전자상거래 소매업 및 소매중개업과 구분하기 위해 업종코드 신설하였습니다. 코드 세분류 세세분류 적용범위 525104 통신 판매업 SNS 마켓 블로그, 카페 등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소셜네트워크서비스, SNS) 채널을 이용하여 물품판매, ..
유튜버, SNS 인플루언서, 블로거 원칙적로 1회성이 아니라 계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영상 및 콘텐츠를 생산하고 이에 따른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인적 또는 물적시설 여부에 따라 과세사업자 또는 면세사업자로 사업자등록을 해야 합니다. 1인 미디어 창작자 - 인정고용 관계 또는 별도의 사업장 등 믈적시설을 갖추고 다양한 콘텐츠의 영상을 영상 플랫폼에 공급하면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과세사업자에 해당합니다. 이 경우, 업종코드 921505,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으로 사업자등록을 하는 것이 맞습니다. (예시) 시나리오 작성자나 영상 편집자를 고용한 경우 등 전문적인 촬영장비를 보유한 경우, 별도의 방송용 스튜디오를 갖춘 경우 등 인적 물적 설비를 갖춘것으로 보아 사업자 등록대상에 해당 됩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1인 미디어 창작자 종합소득세 신고 하는 방법 안내 드리겠습니다. 유튜버, BJ, 스트리머, 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 등을 통칭하여 1인 미디어 창작자라고 합니다. 1회성이 아니고 계속 반복적으로 영상 콘텐츠를 생산하고 이에 따른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사업자로서 세금 신고를 잊지 않아야 합니다. 유튜버, BJ 스트리머, 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 1인 미디어 창작자 종합소득세 신고 납부 의무 1년동안 이자, 배당, 사업, 근로, 연금, 기타 소득이 있는 개인은 2021년 1년 간의 경제활동으로 얻은 소득에 대하여 종합소득세를 신고 납부해야 합니다. 이자, 배당, 사업, 근로, 연금, 기타 모든 과세대상 소득을 합산하여 계산 합니다. 2022년 1년간 소득에 대하여 2023년 5월1일부터 5월31일 (성실신고확인대..

사업자 등록을 하고 나서 온라인 셀러로서 판매를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게 통신판매업신고 입니다. 통신판매업을 신고 할때 필요 한 것이 업종코드 인데요. 업종코드에 따라 발생하는 세율이 다르기 때문에 꼭 참고 하셔서 신고 해야 합니다. 사업자등록 코드란? 국세청이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맞춰 만든 6 자릿수의 코드 번호. 조세행정 목적으로 만들어진 만큼 세금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습니다. 업종코드에 따라 단순/기준경비율, 세금공제, 부가세 면제, 장부기장 의무, 세금계산서 교부의무 등 적용되는 것들이 다릅니다. 사업자 등록 업종선택이 의미하는 것 사업자등록 신청 시 대표자가 반드시 고민하고 입력해야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인적사항 다음에 입력하는 '업종선택' 입니다. 앞으로 하게 될 사업에 맞는 '업종..

요즘 직장 생활을 하면서도 부업으로 인스타나 유튜브를 하고 저처럼 블로그를 하면서 한달에 100만원이라도 더 벌어보자! 하는 분들이 정말 많은거 같습니다. 그런데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틱톡과 블로그와 같이 SNS 상에서 발생하는 비용은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거기에 맞는 사업자 등록도 있는 걸까요? 오늘은 그 부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미디어의 발달로 1인 크리에이터나 SNS 마켓 사업자 등의 신종업종이 인기가 있습니다. 이 신종업종들은 얼핏 보아선 별도의 사업자 등록이 필요 없을 것처럼 보이지만, 반드시 사업자 등록을 해야만 합니다. (많은 분들이 처음엔 가볍게 시작을 하기 때문에 수익이 미미하게 발생하기도 하여 사업자로 스스로를 인식하지 못하지만 사업자 등록이 필요합니다) 계속적으로 ..

클래스101에서 티스토리 만들고 키우면서 구글애드센스 다는 방법까지 잘 따라왔고 강사님이 추천하는 대로 매일 2개의 포스팅을 하지는 못했지만 기본 충족 조건인 포스팅 20개가 넘어가는 시점에서 구글 애드센스 승인 요청을 했는데 결과적으로 까였어요. 구글 애드센스 정책이 까다롭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고 다른 분들의 후기도 나름 찾아봤어서 구글 애드센스 고시 라고 부르는 것도 알고 있었지만 나름 클린하게 글을 쓰고 열심히 포스팅의 개수를 늘리면 어느정도 희망이 있지 않겠냐 하는 생각을 하고 있었거든요. 다시 한번 느끼는 거지만... 남의 돈 먹는게 참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다들 금방 포기하고 현업에 충실하게 매진하게 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그래요... 성공은 아무나 하는게 아닌듯 합니다. 더이상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