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티패스는 뭐고 어떻게 사용하나 사실, 애틀란타는 투어라고 할 만한 곳이 없습니다. 굳이 꼽으라고 하면 월드 오브 코카콜라(World of CocaCola)와 CNN 센터, 조지아 아쿠아리움(Georgia Aquarium) 정도가 될 듯 합니다. 그러나 이 세 군데를 보자고 애틀란타에 여행을 오는 건 아닌거 같습니다. 애틀란타는 무역 중심지 답게 출장 온 김에 유명하다는 곳 한두군데 찍고 가는 그런 곳이라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이렇게 갈 곳이 없는 동네 임에도 불구하고 딱 세군데를 꼽자면 조지아 아쿠아리움(Georgia Aquarium)과 월드 오브 코카콜라(Wolrd of Coca-Cola)는 반드시 가 볼 것을 추천 드리며 아이가 있으시다면 펀뱅크 뮤지엄(Fernbank Museum of Natu..

미국 이민을 준비 하면서 미국 이민을 준비 하는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는 '자녀들의 학업' 때문 일 겁니다. 한국에서의 수업이나 커리큘럼이 나쁘다는 이야기가 아니라 조금 더 나은 선택권과 환경을 주고 싶어 하는 분들이 미국 이민을 선호 하고 진행 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영어 학습으로 스트레스를 상대적으로 덜 받기 바라고 원어민 만큼은 아니더라도 자녀들이 원할하게 영어로 소통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민을 준비합니다. 단편적인 예를 들자면 한국에서 공립학교는 고등과정까지 '무료'이지만 기타 사교육비는 한달에 최소 100만원은 우습게 들어가고 사교육에 부모는 허리가 휘고 아이들은 잠 잘 시간도 없이 공부에 매진하느라 그 누구도 행복하지 않습니다. MZ세대가 세상을 이끌고 있는 이 시대, 과연 책상 앞 공부..

어디를 가면 쇼핑을 할 수 있을까 미국에 살면 자연스레 그로서리(식료품점)은 집 주변에 있어서 접근이 비교적 수월한 편 입니다. 누가 가르쳐 주지 않아도 그런 느낌적인 느낌이 있다라고 할까요? 생존 본능에 의한 것인지 왠지 저 곳에 가면 필요한 생필품과 식료품을 구매 할 수 있겠다라는 감이 딱 옵니다. 그런데 쇼핑은 좀 다른 이야기 같습니다. 한국의 백화점을 생각하고 미국의 쇼핑몰을 방문하게 되면 처음엔 무척 당황스럽습니다. 뭐랄까요... 이게 백화점이라고? 하는 어리둥절한 기분 이랄까요. 분명 엄청나게 큰데 우리가 알고 있는 한국식 '그' 백화점은 아닙니다. 직원들이 상냥하게 응대하거나 쇼윈도에 멋스럽고 고급지게 나를 유혹하며 구매욕을 자극하는 디스플레이도 아닙니다. '사려면 사고, 안살거면 말고' 의..

케이팝(K-pop)이 뭔데 케이팝이라는 장르가 얼마나 미국에서 인지도가 있을까 하는 생각과 함께 포스팅을 해 보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BTS 참 좋아하지만 아줌마로서 예전과 같이 팬심 가득 덕질을 하거나 올인을 하지 못하다 보니 팬이라고 말하기도 민망한 수준이 되어 버렸습니다. 하하.. 그렇지만 어느정도로 팬이냐고 물으신다면 첫아이와 둘째 아이 출산 할때 출산 곡으로 BTS의 음악을 깔아놓고 했다고 하면 인정인가요? 하필 [피 땀 눈물]이 나올때 극적으로 아이들이 태어나서 여전히 그 노래를 들을때면 괜히 마음이 울컥하기도 한답니다. 케이팝이라고 하면 실은 뭐.. 제 시절을 이야기 하자면 원조 케이팝 스타는 보아(BoA) 아니겠습니까? 한국에서 1위 하는것도 영광이라 여기던 그 시절에 해외 진출을 한 첫..

미국 내 한인커뮤니티 어디서 찾나요? 오늘은 어떤 내용으로 정보를 제공하면 좋을까 참 많은 고민을 하다가 첫 문단을 작성했는데 그만 홀라당 날려 버리고 나니 멘탈 복구가 잘 아됩니다. 아직 초보 운영자라서 그런지 이런 일에 대한 대비가 잘 안되어 흐름이 끊기고 나니 뭔가 멍한 상태가 되어 버립니다. 미국에 가기로 마음먹고 가장 먼저 하게 되는 일은 정보수집이 아닐까 합니다. 정보 수집을 하기 위해서 흔히들 검색을 하는 플랫폼은 단연코 네이버와 다음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네이버와 다음은 최대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최대 플랫폼이다보니 정보도 많고 광고성 글도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내가 찾고자 하는 정보가 있어 검색을 하면 원하는 내용을 찾으려 했다가도 정작 광고성 글에 낚여 시간을 허비하거나 그..

USDA Organic 마크가 뭐에요? 최근 유기농 식재료에 이어 유아용품, 위생용품, 사료, 영양제, 세척제, 화장품 등 에서도 유기농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며서 유기농 제품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습니다. 그런데 'USDA ORGANIC'이라는 마크가 새겨진 제품은 어떤 의미일까요? USDA(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미국 농무부)에서 유기농 제품에 부여하는 미국의 대표적인 유기농 인증 마크 입니다. 조건으로는 최소 3년간 화학비료와 농약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원료 중 물, 소금을 제외하고 95% 이상이 유기농 성분인 제품에만 이 마크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조건 충족이 되지 않을시에는 USDA마크가 아닌 Organic 표시만 하게 됩니다. 인증 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