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디를 가면 쇼핑을 할 수 있을까 미국에 살면 자연스레 그로서리(식료품점)은 집 주변에 있어서 접근이 비교적 수월한 편 입니다. 누가 가르쳐 주지 않아도 그런 느낌적인 느낌이 있다라고 할까요? 생존 본능에 의한 것인지 왠지 저 곳에 가면 필요한 생필품과 식료품을 구매 할 수 있겠다라는 감이 딱 옵니다. 그런데 쇼핑은 좀 다른 이야기 같습니다. 한국의 백화점을 생각하고 미국의 쇼핑몰을 방문하게 되면 처음엔 무척 당황스럽습니다. 뭐랄까요... 이게 백화점이라고? 하는 어리둥절한 기분 이랄까요. 분명 엄청나게 큰데 우리가 알고 있는 한국식 '그' 백화점은 아닙니다. 직원들이 상냥하게 응대하거나 쇼윈도에 멋스럽고 고급지게 나를 유혹하며 구매욕을 자극하는 디스플레이도 아닙니다. '사려면 사고, 안살거면 말고' 의..

케이팝(K-pop)이 뭔데 케이팝이라는 장르가 얼마나 미국에서 인지도가 있을까 하는 생각과 함께 포스팅을 해 보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BTS 참 좋아하지만 아줌마로서 예전과 같이 팬심 가득 덕질을 하거나 올인을 하지 못하다 보니 팬이라고 말하기도 민망한 수준이 되어 버렸습니다. 하하.. 그렇지만 어느정도로 팬이냐고 물으신다면 첫아이와 둘째 아이 출산 할때 출산 곡으로 BTS의 음악을 깔아놓고 했다고 하면 인정인가요? 하필 [피 땀 눈물]이 나올때 극적으로 아이들이 태어나서 여전히 그 노래를 들을때면 괜히 마음이 울컥하기도 한답니다. 케이팝이라고 하면 실은 뭐.. 제 시절을 이야기 하자면 원조 케이팝 스타는 보아(BoA) 아니겠습니까? 한국에서 1위 하는것도 영광이라 여기던 그 시절에 해외 진출을 한 첫..

미국 내 한인커뮤니티 어디서 찾나요? 오늘은 어떤 내용으로 정보를 제공하면 좋을까 참 많은 고민을 하다가 첫 문단을 작성했는데 그만 홀라당 날려 버리고 나니 멘탈 복구가 잘 아됩니다. 아직 초보 운영자라서 그런지 이런 일에 대한 대비가 잘 안되어 흐름이 끊기고 나니 뭔가 멍한 상태가 되어 버립니다. 미국에 가기로 마음먹고 가장 먼저 하게 되는 일은 정보수집이 아닐까 합니다. 정보 수집을 하기 위해서 흔히들 검색을 하는 플랫폼은 단연코 네이버와 다음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네이버와 다음은 최대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최대 플랫폼이다보니 정보도 많고 광고성 글도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내가 찾고자 하는 정보가 있어 검색을 하면 원하는 내용을 찾으려 했다가도 정작 광고성 글에 낚여 시간을 허비하거나 그..

USDA Organic 마크가 뭐에요? 최근 유기농 식재료에 이어 유아용품, 위생용품, 사료, 영양제, 세척제, 화장품 등 에서도 유기농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며서 유기농 제품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습니다. 그런데 'USDA ORGANIC'이라는 마크가 새겨진 제품은 어떤 의미일까요? USDA(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미국 농무부)에서 유기농 제품에 부여하는 미국의 대표적인 유기농 인증 마크 입니다. 조건으로는 최소 3년간 화학비료와 농약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원료 중 물, 소금을 제외하고 95% 이상이 유기농 성분인 제품에만 이 마크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조건 충족이 되지 않을시에는 USDA마크가 아닌 Organic 표시만 하게 됩니다. 인증 절차..

미국 독립기념일, 인디펜던스 데이(Independence day), 4th of July 그거 아시나요? 미국 독립기념일은 미국이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날이 아니라고 합니다. 미국의 독립이 공식적으로 승인된 파리조약이 체결된 날은 1783년 9월3일이고 조약이 발효된 날은 1784년 5월 12일 입니다. 미국 독립기념일은 실은 독립 결의를 대중에게 알리는 문건인 미국 독립선언서가 발표 된 1776년 7월4일입니다. 즉, 엄밀히 말하면 미국 독립기념일인 7월4일은 미국 독립선언서가 발표된 날 입니다. 미국의 독립기념일은 법적인 의회 결의나 조약 체결보다는 실제 대중을 대상으로 한 선언문인 미국 독립선언서가 발표된 날이 일반 대중들에게는 훨씬 더 반향이 컸고 많은 사람들에게 기억되었기 때문에 7월 4일이 독립..

이민비자란 이민비자 (그린카드 혹은 영주권)은 미국에 이민을 하고자 하는 사람을 위한 비자 입니다. 일을 하거나 학교를 다니며 미국에서 생활하며 미국에서 영구히 거주하려는 사람들을 위한 비자 입니다. 미국 이민법에서는 이민비자를 직계 가족, 가족, 취업, 그리고 추첨에 의한 Diversity Visa 등 크게 네 가지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민 비자의 기간은 (2년 혹은 10년) 체류용 입니다. 이민 비자의 종류 가족 초청 이민 - 직계 가족 비자 기호 구분 근거 법령 IR1 미국 시민권자의 배우자 INA 201(b) IR2 미국 시민권자의 자녀 INA 201(b) IR3 미국 시민권자가 해외에서 입양한 고아 INA 201(b) & INA 101(b)(1)(F) IH3 미국 시민권자가 해외에서..